안녕하세요! 면정입니다.
이전 글에서는 웹사이트를 GA에 연결하고 GTM 세팅하는 법에 대해 다루었는데요
이번엔 UTM 파라미터를 만들고 사용자 유입이 잘 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2. UTM 파라미터 설정하고 사용자 유입 확인하기
UTM 파라미터란?
먼저 UTM 파라미터란 뭘까요
UTM 파라미터란 'Urchin Tracking Module'의 약자로, 마케팅 캠페인의 추적 및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입니다. 추적하고자 하는 URL 주소 뒤에 UTM 파라미터를 형식에 맞게 붙여주면 구글 애널리틱스가 UTM 파라미터에 있는 값을 수집하고 이를 통해 유입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UTM 파라미터 규칙
다음은 UTM 파라미터의 요소들입니다.
'utm_source', 'utm_medium', 'utm_campaign' 3개의 요소는 필수 요소입니다.
파라미터 | 설명 | 예시 |
utm_source 필수 | 어떤 채널을 통해 들어온 유입인지 | 구글, 네이버, 인스타그램, 티스토리 등 |
utm_medium 필수 | 어떤 매체를 통해 들어온 유입인지 | SNS 채널, 이메일, 원문 링크 공유 등 |
utm_campaign 필수 | 캠페인, 프로모션 이름 | black_friday, spring_sale 등 |
utm_id | 특정 캠페인 id | abc.123 |
utm_term | 검색광고 시 사용되는 검색어 | iphone12 |
utm_content | 동일한 광고 캠페인에서 소재가 여러 개일 경우, 이를 구분하기 위해 입력 |
image1, blue_color_image |
UTM 파라미터 설정하기
UTM 파라미터에 대해 알았으니 이제 url을 만들어봅시다! 저는 2가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1️⃣ URL Builder
구글에서는 URL Builder 툴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툴을 사용하면 링크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source, medium, campaign 3개의 필수 요소들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URL 생성이 완료됩니다.
2️⃣ UTM 관리 템플릿 이용
UTM 파라미터 (2) 쓴다고 다가 아니다
데이터리안의 UTM 관리 템플릿을 공유합니다
datarian.io
위 글에서는 UTM 파라미터의 생성뿐만 아니라 현업에서 겪으신 UTM 파라미터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서술되어 있습니다. 감사하게도 UTM 관리 템플릿을 공유해 주셔서 저도 사용해 보았습니다. URL이 자동으로 생성될 뿐만 아니라 관리에 용이하니 사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데이터리안 블로그...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데이터리안] UTM 관리 시트 템플릿
UTM 작성 가이드 UTM 작성 가이드 source (유입 채널),medium,content,campaign fb,cpc (paid-social),광고 소재 내용을 요약한 영문 (예시. data-learners),webinar (세미나) sql-package (SQL 캠프 패키지) ig,social,profile / feed /
docs.google.com
파일 > 사본 만들기를 통해 본인의 구글 드라이브에 사본을 저장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용자 유입 확인하기
UTM 파라미터 생성 후 유입은 보고서 > 획득 > 트래픽 획득 > '세션 기본 채널 그룹'을 '세션 소스/매체'로 변경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통 보고서 업데이트까지 24시간 정도 걸린다고 하니 확인이 안 되시면 하루 뒤에 확인해 보세요)
✔ [참고] 사용자 획득 vs 트래픽 획득
- 사용자 획득 : 신규 사용자의 획득(첫 방문)에 기여한 유입 정보를 확인 (*재방문에 대한 유입 정보 제외)
- 트래픽 획득 : 모든 사용자의 각 방문에 기여한 유입 정보를 확인
획득 보고서에서 제가 설정한 utm 파라미터대로 유입이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tagassistant.google.com / referral' 👈 이 녀석이 계속 뜨네요... 필터링 할 방법을 알아봐야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
데이터리안 블로그, https://datarian.io/blog/how-to-use-utm-parameter